본문 바로가기
꿀팁&정보 백과사전/건강 백과사전

금연 할 때 준비해야 할 것- 하루 안에 담배 끊는 방법 2편

by .Blog 2019. 11. 6.
반응형

담배를 끊을 때 준비 해야 할 것

담배를 피는 이유를 생각하라- 습관성 흡연 행위


담배를 피는 이유에 대해 사람들에게 물어보면 스트레스 때문이라는 대답이 절반이상이다. 
그 외에 습관 때문에, 금단 증세가 심해서 등의 답변들이 있다.

담배를 피우는 이유가 스트레스 때문이라고 생각하는 패턴은 아래와 같다. 

스트레스가 온다 > 담배를 핀다 > 다시 스트레스가 온다 > 담배를 핀다. 

그렇다면 스트레스 이던 습관성이던 사람들은 왜 담배에 의지를 할까?
이유는 니코틴에 의한 중독 때문이다. 

담배를 피우는 사람들의 실제 패턴은 아래와 같다. 

니코틴이 부족(결핍) > 니코틴(결핍)을 채우려고 몸이 요구 > 흡연 > 결핍 > 흡연…

금연의 시작은 흡연이 결핍에 의한 것임을 인지하는 것이다. 
너무 당연한 것 이지만 사람들이 이걸 인지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문제가 발생하는 지점을 정확히 봐야 해결도 가능하다.


과연 담배를 피우는 행위로 스트레스를 해소 할 수 있나?
담배가 스트레스 받은 마음을 좀 진정하게 해 주는가?
정답은 해결 할 수 없다. 진정 시키지 않는다. 애초에 스트레스와 담배는 별개이다.

스트레스 상황 발생 > 니코틴 결핍 > 불안 > 스트레스 가중 > 흡연 > 결핍 해결 (여전히 스트레스는 남아있음)


담배만 피웠고 담배를 원하는 결핍만 해소 되었다. 최초 스트레스를 받은 원인은 해결 되지 못하고 담배만 피운 샘이다. 담배는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지 못하고 스트레스 상황을 이용해 스트레스를 가중 시켜 결핍을 해결 하고는 해결이 되었다는 만족감을 살짝 주었다. 일종의 만족감으로의 도피라고도 볼 수 있다. (담배 이외에도 여러 중독 증상에서 볼 수 있는 패턴이다.)

어떤 사람은 ‘만족감을 주었으니 어떤 면에서는 좋은 것 아닌가?’라는 생각을 
하는 사람도 있으나 담배가 없었다면 애초에 생기지도 않았을 결핍이다. 
억지로 결핍을 만들고 채워 넣은 만족감이다.

비유하자면 스스로 자해를 하고 상처가 치료 되었다고 만족해 하는 것이다.
흡연 행위는 인위적으로 결핍과 만족감이라는 굴레에 묶어 놓는 행위이다. 

담배가 없다면 이런 이상한 굴레에서 빠져나가 아까 담배를 피는 이유로 말한 스트레스(니코틴 부족에서 오는 가중된 스트레스 없이 순수한 스트레스)에 바로 직면 할 수 있는 것이다. 


담배 끊기 원포인트 요약1:
금연 중에 담배를 피우고 싶다면 머리 속에 담배를 원하는 결핍과 흡연 욕구에 대한 생각의 구조에 대해 떠올려 보자 생각해 보자. 이런 담배를 피우는 구조를 머리 속에서 생각 하는 것 만으로 지속적으로 금연 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



담배를 끊는 이유를 생각하라- 유혹을 이겨내는 힘

 

 

담배를 끊는 이유를 생각하는 것은 중요하다. 담배의 금단 증세가 지속 되면서 순간순간 유혹을 참아내는 힘이 되기 때문이다.  분명한 이유를 생각하지 않고 새해 다짐처럼 막연하게 올해는 담배를 끊겠다고 정하는 목표는 쉽게 포기하게 된다. 건강을 위해, 폐암이 걱정되어 냄새가 신경 쓰여 부인이 싫어해서, 아이를 위해 등등 다양한 이유가 있는데 이를 크게 나누면 나를 위해 또는 사랑하는 사람을 위해다. 어느 쪽도 좋다.

금연을 다른 사람에게 알리는 것은 도움이 된다. 너무 여러 사람에게 알리면 오히려 여러 금연을 방해하는 상황이 만들어 질 수 있으니 자기가 담배를 피우게 된 이유가 되는 상대방에게 담배를 끊으려는 이유와 함께 금연의 시작을 알려보자. 성공 확률이 많이 올라간다.
다만 헤어질 수 가능성이 높은 여자친구는 헤어지는 순간 피어야 하는 강력한 이유를 들고 온다.
 배우자 또는 자식에게 금연의 이유를 말하고 약속을 하면 성공률이 아주 높아진다.

담배 끊기 원포인트 요약2:
끊으려는 이유가 무엇인지 생각하면 포기하려 할 때 넘기는 힘이 된다.

 

[함께 보면 좋은 관련 글]

금연에 실패하는 이유 -하루 안에 담배 끊는 방법 1편

금연 할 때 준비해야 할 것- 하루 안에 담배 끊는 방법 2편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