꿀팁&정보 백과사전86 금단 증상과 변화 관찰 - 하루 안에 담배 끊는 방법 3편 담배를 끊는 방법 담배를 끊는 가장 좋은 방법은 아무 생각 없이 바로 끊는 것이다. 한 갑을 피우던 두 갑을 피우던 상관없다. 금연을 하기로 했으면 원래 담배를 피우지 않았던 사람인 것처럼 담배를 피우지 않으면 된다. 말처럼 쉽지는 않다. 아주 어렵다. 힘들고 괴롭고 고통스럽기 까지 하다. 그럼 이걸 어떻게 이겨 내야 하는가? 나를 지켜 봐야 한다. 자기가 얼마나 담배에 의존을 했었는지 몸의 변화를 관찰하라 금단 증상과 변화 관찰 금연 특징과 주의사항: 1일차 ~ 일주일차 금연을 시작하면 어떤 사람은 30분 1시간 만에도 바로 금단 증상이 나타난다. 몸에 니코틴이 사라지기 시작하면 계속 담배를 요구하게 되는데 이때 필요한 것은 나를 관찰하는 것이다. 몸은 니코틴이 없다고 직접적으로 말하지 않는다. 담배를.. 2019. 11. 6. 금연 할 때 준비해야 할 것- 하루 안에 담배 끊는 방법 2편 담배를 끊을 때 준비 해야 할 것 담배를 피는 이유를 생각하라- 습관성 흡연 행위 담배를 피는 이유에 대해 사람들에게 물어보면 스트레스 때문이라는 대답이 절반이상이다. 그 외에 습관 때문에, 금단 증세가 심해서 등의 답변들이 있다. 담배를 피우는 이유가 스트레스 때문이라고 생각하는 패턴은 아래와 같다. 스트레스가 온다 > 담배를 핀다 > 다시 스트레스가 온다 > 담배를 핀다. 그렇다면 스트레스 이던 습관성이던 사람들은 왜 담배에 의지를 할까? 이유는 니코틴에 의한 중독 때문이다. 담배를 피우는 사람들의 실제 패턴은 아래와 같다. 니코틴이 부족(결핍) > 니코틴(결핍)을 채우려고 몸이 요구 > 흡연 > 결핍 > 흡연… 금연의 시작은 흡연이 결핍에 의한 것임을 인지하는 것이다. 너무 당연한 것 이지만 사람들.. 2019. 11. 6. 금연에 실패하는 이유 -하루 안에 담배 끊는 방법 1편 담배를 피울 것인가? 그만 피울 것 인가는 당신의 선택입니다. 만약 당신이 금연 하기로 마음을 정했다면 글을 읽으세요. 당신이 이제껏 몇 번의 실패를 했던 상관없이 이 글은 금연에 성공하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개요 보통 하루에 한 갑을 피다가 담배 끊기 마지막 1년은 두 갑 정도 피웠습니다. 그러다 자식이 세상에 태어난 날 그날부터 현재까지 7년 동안 금연 상태이고 중간에 한번도 담배를 피우지 않았습니다. 끊은 상태가 아니라 금연 상태라고 말하는 이유는 지금도 가끔은 담배를 피우고 싶은 순간들이 있기 때문입니다. 담배를 피우고 싶은 느낌이 들지만 처음 끊기 시작했을 때에 비하면 그 강도가 많이 약해져서 잠깐 생각이 들지만 바로 사라집니다.담배가 몸에 좋지 않은 것은 말할 것도 없고 끊으려 해도 끊기 .. 2019. 11. 6. 람부탄 알고 먹자 - 효능과 부작용 람부탄 소개 열대 과일로 보통 뷔페에 가면 하나 먹어 볼까 하고 먹어보는 그 과일. 리치와 헷갈려 하지만 리치는 털이 없다. (람부탄에 털이 없다면 비슷한 느낌일 수도) 말레이시아가 원산으로 붉고 딱딱한 껍질에 가시처럼 보이는 털이 나있어 좀 징그러운 동물처럼 보이기도 하는데 만져 보면 부들부들해서 기분 나쁜 느낌은 아니다. (나무에 달려 있을 때는 오히려 이뻐 보인다고 한다.) 벗기는 것도 힘을 줘서 껍질을 벗기면 그리 어렵지 않게 벗겨진다. 반을 쪼개듯 껍질은 벗기면 대략 2센치 정도로 속은 흰색에 포도알처럼 보인다. 특유의 향이 좋은데 감귤향이 나기도 한다. 식감이 좋고 달고 상큼하여 디저트로 즐기기에 좋다. 과일 안에는 큰씨가 있으니 주의해서 먹자. 람부탄의 주재배 지역 주로 동남아시아에서는 흔한.. 2019. 10. 30. 오미자 소개 그리고 효능 - 사람들이 찾는 이유 오미자 소개 오미자는 한국 사람들이 차로 즐겨 마시는 대표 음식 건강 식품이다. 오미자는 산의 오미자 나무에서 열리는 과일이며 단맛, 쓴맛, 신맛, 매운맛, 짠맛의 5가지 맛이 난다는 뜻으로 이름이 오미자(五味子)로 불리운다. 오미자의 역사 중국과 러시아가 원산지로 알려져 있고 우리나라에서는 오래 전부터 약의 재료로 사용되었는데 그 역사가 수천 년을 이어져 오고 있다고 한다. 삼국 시대 때에는 좋은 품질로 중국으로 수출하는 중요한 수출품이였다고 한다. 많은 기록은 조선 시대부터 남겨져 있는데 한의학에서 사용 된 기록이 많이 존재 한다고 한다. 오미자 이름의 뜻 위에서 언급했듯이 오미자는 다섯가지 맛이 있다고 하여 이름이 붙여 졌다. 단맛은 주로 껍질에서 나며 신맛은 과일의 즙에서 주로 난다. 오미자는 주.. 2019. 10. 30. 이전 1 ··· 7 8 9 10 다음